마케팅 제안서 다듬기
콘셉트란 하나의 그릇이다.
적절한 콘셉트가 중요한 이유는 내용을 모으기 위해서고, 그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다. 브랜드를 캠페인을 표현할 하나의 단어나 문장을 도출해 보자. 콘셉트는 제품의 차별성과 필요성을 동시에 담아야 한다. 차별적인 제품을 내놓은 것은 중요하지만, 고객들의 니즈에도 부합해야 한다. 고객이 필요하지도 않은 엉뚱한 점을 어필하면 안 된다. 첫 번째로 브랜드, 제품과 관련된 키워드 체크를 합니다. 두 번째 네이밍으로 활용할만한 키워드를 선별하고 우리만의 키워드로 변행 해봅니다. 세 번째 키워드 간 합성 또는 결합을 합니다.
제안서 다듬기
제안서를 쓰는 사람은 계속 되풀이해서 본 문서이지만, 제안서를 보고 듣는 사람은 수많은 제안서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딱 한 번에 보고 이해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최대한 고객 관점대화를 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는 So What - Why So 방식이 있습니다. So What 방식은 그래서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 것인가?입니다. 즉 정보, 분석에서 나온 결과로부터 말하려는 핵심에 센스를 추출하는 작업입니다. Why So 방식은 그렇게 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입니다. 자신의 주장이나 결론이 타당한지 근거를 통해 검증하는 방법입니다. 두 개의 방식이 잘 호환되고 있는지를 보시면 제안서 다듬기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에서부터 찾아낸 여러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정리하는 것입니다. 연역적 추론(분해)와 귀납적 추론(그룹핑)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뉩니다. 연역적 추론방식은 이미 알고 있는 것들을 근거로 해서 새로운 판단을 유도해 나가는 방법입니다. 귀납적 추론방식은 개별적인 여러 가지 사례들을 통해 일반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입니다.
마케팅 트렌드 공부를 위한 팁
읽고,쓰고,맛보고, 즐기고 글이라도 해도 배워야 삽니다. 알아야 경호무도 공감도 가능합니다. 제안서 작성을 위한 다양한 소비자 데이터, 채널 별 동향, 신기술, 새로운 광구좌 오픈 등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는 트렌드 리포트를 자주 보면서 흐름을 따라가야 합니다. 메가트렌드는 사회, 경제, 기술상의 변화를 수반하는 복잡한 과정을 밟습니다. 메가트렌드의 흐름을 통해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 등 인사이트를 파악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할 만 자료로는 트렌드코리아 2023 등 서적이 있습니다. 마이크로트렌드는 라이프스타일의 다양성 증가와 극 세분화 가속화로 인한 마이크로트렌드의 중요성을 대두하는 것입니다. 트렌드는 마이크로트렌드에서 진화하는 경향이 큽니다. 상당수 트렌드는 마이크로트렌드에서 진화하는 경향이 큽니다. 상당수 트렌드는 마이크로트렌드에서 발전합니다. 다만 다수의 대중들이 특정 마이크로트렌드의 실체에 대해 깊이 느끼지 못했을 뿐입니다. 그 어떤 마케터라도 시장의 고객이라는 점을 잊지 말고 고객의 관점으로 공감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이크로트렌드 참고 사이트로 트렌드인사이트가 있습니다. trendinsight.biz 직자들이 그 전문성을 바탕으로 트렌드를 발견하고 이를 독창적인 방법으로 해설해 주는 트렌드 미디어입니다. 캐릿(www.careet.net) 또한 MZ세대 마이크로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트렌드 미디어입니다. MZ용어사전, 요즘 뜨는 밈, Z세대의 최신 근황 등 최신 트렌드를 활용할 수 있는 홈페이지입니다. 오픈애즈(www.openads.co.kr) 홈페이지에서는 마케터를 위한 마케터가 될 수 있는 누구나를 위한 인사이트 큐레이션 플랫폼입니다. 인사이터들의 콘텐츠, 광고상품들에 대한 이야기, 리포트 자료실 등 마케팅에 관한 자료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설문 조사에 대한 확실한 자료를 얻고 싶다면 오픈서베이(blog.opensurvey.co.kr) 페이지, 메조미디어(www.mezzomedia.co.kr/insight_m), 나스미디어(www.nasmeida.co.kr) 페이지가 있습니다.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에 큰 역할을 하는 설문조사도 결국 소비자의 시각에서 봐야합니다. 현재 시장의 니즈가 무엇인가를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해야합니다.
-제로베이스콘텐츠마케팅스쿨-